GFA

GFA is one of the leading Intermodal Transportation service providers supplying more than 40% of all Intermodal traffic in the Automotive corridor located throughout Alabama and Georgia. Extensive experience with JIT (Just in time) and JIS (Just in Sequence) shipments.

Archive

GFA / 

킬레이션 치료의 효과는 무엇인가요?

[vc_row animate_rounded_tab="yes"][vc_column][vc_column_text]EDTA 킬레이션(chelation)은 그리스어로 바닷가재의 발을 의미하는 “chele” 에서 기원합니다. 원래 킬레이션에 사용하는 킬레이트 중 하나인 EDTA(에틸렌디아민4초산 : Ethylene DiamineTetraacetic Acid)는 체내에 축적된 유해한 중금속이 인체의 생리기능과 면역기능을 방해함으로써 독성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들 유해한 중금속 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였습니다. 즉, 킬레이션 치료법은 유해 중금속을 제거하는 킬레이트제를 좌약하여 혈관에서 노폐물을 씻어 소변으로 배출하는것으로 “혈관 청소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EDTA는 중금속 뿐만 아니라 혈관의 칼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등을 감소시키고 혈소판의 응고작용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항사나화 물질에 의한 LDL-Peroxidation을 억제함으로써 혈관의 손상을 예방하여, 혈관의 석회화, 혈소판의 응고를 억제함으로써 지난 30년가 중상동맥경화증과 페쇄성 동맥혈관장애의 치료와 예방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습니다. EDTA는 말초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및 뇌혈관 질환에 효과적입니다. 말초혈관, 심혈관 및 뇌혈관에서 중금속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배출하는 작용을 합니다. EDTA는 강력한 황산화 작용을 합니다. 노화(주름개선, 탈모, 관절염, 황반변성증 등), 암, 동맥경화성 치매증, 심근경색, 심부전, 뇌경색 등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면역기능을 개선시킵니다. EDTA는 혈관 내 노폐물의 부착을 방지하는 작용을 합니다.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 관상 동맥의 폐색, 혈관 형성 수술후의 폐색,...

갑상선기능저하증(hypothyroidism)

[vc_row animate_rounded_tab="yes"][vc_column][vc_single_image image="11286" img_size="medium" alignment="center" style="vc_box_rounded"][vc_empty_space][vc_column_text]갑상선은 목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내분비 기관으로, 뇌에 있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갑상선자극 호르몬의 신호를 받아 갑상선호르몬을 만들어 내는 일을 합니다. 갑상선 호르몬은 우리몸 신진 대사의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만약 부족하거나 넘치면 정상적인 생활을 하기가 힘들어집니다. 갑상선 질환은 크게 갑상선 기능저하증 (hypothyroidism)과 갑상선 기능 항진증 (hyperthyroidism)으로 나뉘어집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이 너무 적게 나와 문제가 되는 상태이고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갑상선 호르몬이 너무 많이 나와 일어나는 병적 상태를 말합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hypothyroidism)은 갑상선 작용이 저하되기 때문에 혈액 속 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저하되어 신진대사가 함께 떨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경우에 주된 대체의학적 원인으로 하시모토병(hashimoto’s disease), 자가면역적질환 (autoimmune disease)이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 방사선 요오드 치료를 하거나, 갑상선 암 또는 기능항진증으로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경우, 요오드 부족,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호르몬 (estrogen/progesterone, cotisol/DHEA) 불균형, 임신, 또는 뇌하수체 기능저하로 인해, 또는 리튬과 같은 약물을 복용한 경우에서도 나타날수 있습니다. 기능저하증은 신진대사 저하로 인한 극심한 피로, 체온 저하로 추위를 심하게 타며 몸이 붓고 체중이...

유방암 위험발견 적외선 체열검사

[vc_row animate_rounded_tab="yes"][vc_column][vc_single_image image="11284" img_size="medium" alignment="center" style="vc_box_rounded"][vc_empty_space][vc_column_text]적외선 체열 검사는 인체에 방출되는 극미량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인체의 통증부위 및 질병부위의 미세한 체열변화를 컬러 영상으로 나타내줌으로써, 인체의 이상유무와 질병여부를 진단하는 첨단의료영상 진단장비이다. 일반적으로 X-ray, CT 또는 MRI 촬영은 인체의 해부학적인 이상여부를 진단하는 장비이이지만 적외선 진단기는 생리학적인 이상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검사장치로, 신경, 근육, 인대 혹은 관절 손상으로 발생된 혈액순환의 기능적인 변화와 특히 통증을 시각화 하여 질병을 진단 한다. 척추 골절, 디스크 질환, 퇴행성 척추증, 관절염, 레이노 증후군, 갑상선 종양 검사 등에 사용되며 특히 미국에서는 유방암 검사로 많이 사용한다. 매모그램으로 발견되기 전에 5-8년 전의 유방암 조기 생리적 현상을 발견할 수 있고 검사시 방사성 노출이나 통증이 없으며 인체에 무해해 임산부나 아동들에게도 검사가 가능하며 임상 진단 상관 관계율이 초음파 기계와 함께 검사시 정확도가 96%이상이다. 특히 염증성 유방암의 경우 적외선 검사기로만 발견할수있다. 2010년 자료에 의하면 유방암은 미국인 여성 중 35-54세 연령대에 가장 많이 발병하고 여성 8명중 1명 비율로 발생한다고 한다. 대부분의 여성이 메모그램을 하지만 이 검사방법이 오히려 유방암 발생 원인을 제공한다는...

라이포소말(liposomal) 테크널러지

[vc_row animate_rounded_tab="yes"][vc_column][vc_single_image image="11282" img_size="medium" alignment="center"][vc_empty_space][vc_column_text]현재 미국 대체의학 의사들은 혈관 주사나 복용약, 호르몬 크림 등의 기존 처방법을 줄이고 있는 추세이다. 왜냐하면 정맥 주사는 가장 효과적이지만 환자에게 주사에 대한 부담과 병원 을 일일히 방문해야하는 등 시간과 비용면에서 부담되는 경우가 많고 입으로 섭취하는 약의 경우 흡수율이 5%-19% 정도로 대부분이 위에서 위산에 의해 파괴되어 체내 흡수율이 매우 낮은 편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요법이 라이포소말 테크널러지이다. 이 요법을 사용하면 비타민, 미네랄, 생약, 알약의 효능을 체내 원하는 곳으로 얼마든지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라이포소말(liposomal)은 두겹의 인지질 (Phospholipid)로 만들어지며 안이 비어있는 커품모양을 하고 있다. 라이포소말 두 세포벽은 정상적인 세포와 흡사하여 인지질 머리는 물을 좋아하는 친수성을 가지고 있고 다리부분은 물을 거부하는 지용성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물이 들어 가면 인지질의 특성에 따라 수용성 부분이 물과 작용하고 지용성 물질이 들어가면 물을 거부한다. 수용성 부분이 세포벽을 통해 지방으로 캡술화된 영양소를 운송하여 필요한 세포에 비타민이나 여러 영양소를 공급할 수있다. 이와같은 라이포솜 특성상 캡술화된 영양분이 소화기에서 영양소 파괴없이 위를...

이상 지질혈증(DYSLIPIDEMIA)

[vc_row animate_rounded_tab="yes"][vc_column][vc_single_image image="11280" img_size="full" alignment="center"][vc_empty_space][vc_column_text]미국에서 심혈관 질환은 가장 많은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이상지질혈증은 혈중에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증가된 상태거나 HDL콜레스테롤이 감소된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 관동맥성 심장병을 일으키는 원인들과 유전적 요인으로 혈액 내 특정 지질이 증가되어 이상지질혈증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상지질혈증과 더불어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등의 용어들이 유사한 의미로 통용되고 있으나, 이상지질혈증은 이 셋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질환명이다. 정상 혈중 수치는 총콜레스테롤 200mg/dL이하, 
LDL콜레스테롤 70-130mg/dL이하, 
HDL콜레스테롤 40-60mg/dL이상, 
중성지방 10-150mg/dL이하인데

적어도 2회 이상의 측정에서 이 중 하나라도 이상이 발견되면 이상지질혈증으로 볼 수 있다. 대체의학적 이상지질혈증의 예방및 치료 방법은 
정상 체중을 유지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며, 금주, 금연을 하고, 비흡연자도 간접흡연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기농 과일과 채소, 참치나 연어에서 단백질을 섭취하고 견과류, 수용성 섬유소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섬유소는 물과의 친화성에 따라 수용성 섬유소, 비수용성 섬유소라고 부른다. 수용성 섬유소는 우리 몸 안에서 물을 흡수하면 젤리상태로 되어 위를 팽창시켜 포만감을 느끼게 하고 음식물의 흡수를 지연시킨다. 또한 혈장의 콜레스테롤치를 낮추는 역할도 한다. 수용성 섬유소는 귀리, 보리, 콩, 완두, 감자, 사과, 오렌지, 포도, 딸기, 다시마,...

유산균 (프로바이오틱, Probiotics)

현대는 프로바이오틱의 시대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만큼 현대인들에게 필수 섭취 성분이 되고 있다. 유산균의 역사를 보면 최초로 프랑스 미생물 학자 루이 파스퇴르 (Louis Pasteur)가 발견했고 파스퇴르 연구소 수석 연구원인 일리아 메치니코프 (Elie Metchinikoff)가 유산균을 장수의 비결로 알리면서 1908년 노벨물리학상 의학상을 수상했다. 인체에 사는 세균은 약100조개 정도로 무게는2kg이고 이 중 80%가 장속에 살고 있다. 장내 세균은 사람의 세포보다 열배 이상의 세포수와 백배 이상의 유전자수를 갖고 있어 몸의 제2유전체라고 볼 수 있다. 장속에 나쁜균이 많으면 비만이나 당뇨병 같은 대사증후군을 일으킬수 있다는 보고들이 나오면서 윤산균의 문제는 장의 문제로만 그치지 않고 이러한 문제로 인해 장에서 충분한 영양소 흡수가 이뤄지지 않아 여러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다. 장은 뇌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어 제2의 뇌라고도 불리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건강에 도움이 되는 살아 있는 균이다. 옛날을 어떤 질병을 유발하는 미생물을 무조건 사멸해야 하는 대상으로만 본 안티바이오틱스의 시대라고 한다면21세기는 이를 뛰어넘어 치과, 산부인과, 내과적 질병을 예방, 억제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프로바이오틱스 시대로 볼 수 있다. 많은 실험을 통해 유산균과 병원성균을...